[공유] “용산공원 인근 캠프킴, 지하 9m까지 발암물질 범벅”
페이지 정보
- 작성자
- 건강정책학회
- 조회
- 787회
- 작성일
- 22-05-24 10:07
본문
국방부가 주한미군으로부터 1년6개월 전 반환받은 서울 용산구 ‘캠프 킴’ 부지의 환경오염도를 조사한 결과 지하 9m까지 발암물질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 부지는 전체 면적 중 97% 가량이 발암물질을 비롯한 인체 유해 물질로 오염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환경공단은 국방부의 의뢰를 받아 지난해 10월25일부터 올해 3월23일까지 캠프 킴 일대의 토양 오염도를 조사했다. 이 자료는 캠프 킴 부지 정화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된다.
15일 경향신문이 윤미향 무소속 의원실을 통해 입수한 국방부의 ‘캠프 킴 부지 토양정밀조사’ 보고서를 보면, 캠프 킴 부지 총 면적인 4만6680㎡ 중 97%에 달하는 4만5184㎡가 1지역 기준 이상의 오염도를 보였다. 정화가 필요한 토양의 부피는 22만1257㎥에 달했다. 이는 25t 덤프트럭 적재량을 15㎥로 계산할 경우 약 1만4750대 분량이다.
캠프 킴 부지 내 일부 지점에서는 지하 8~9m에서 1급 발암물질인 니켈이 1㎏당 최고 112㎎ 검출됐다. 기름 유출로 인한 오염도를 나타내는 ‘석유계총탄화수소(TPH)는 지하 1~2m에서 1㎏당 1만6987㎎의 최고농도가 검출됐다. 기준치의 8.5배를 초과한 수치다. 납은 지하 0.3~0.6m에서 기준치보다 25배 높은 1㎏ 당 5만2687㎎의 최고농도를 보였다. 이 물질들을 비롯해 발암물질인 크실렌, 벤조 피렌 등 11개 물질이 캠프 킴 부지 내 152개 지점에서 1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초과해 검출됐다.
캠프 킴 부지는 용산 대통령 집무실에서 북서쪽에 위치한 곳으로 용산공원 예정지와도 맞닿아있다. 문재인 정부는 2020년 8월4일 발표한 부동산 대책에서 캠프 킴 부지 일대를 정화하고, 이곳에 3100호의 공공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토양환경보전법은 특정 지역에 거주지나 공원, 학교 등을 조성하려면 ‘1지역’ 토양오염우려기준을 밑돌아야 한다고 규정한다.
정부는 토양정밀조사를 바탕으로 정화작업에 착수할 방침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정화작업을 위한 설계 작업에 있다”며 “이 작업을 마친 후, 약 2년에서 4년간 본정화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그러나 한·미 양국이 토양 정화작업에 드는 막대한 비용을 어떻게 분담할지는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환경부 관계자는 “(한미간 환경정화 책임문제 협상은) 부지 선반환, 후협의로 추진되고 있다”며 “정화책임과 관련해서는 현재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아직 유의미한 진전 상황이 아직 안 나온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용산공원의 임시 개방을 서두를 경우 정부의 협상력이 더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충분한 협상 절차를 생략한 채 오염정화비용의 상당수를 한국이 떠안을 수 있다는 것이다. 윤 대통령은 올해 2분기까지 주한미군으로부터 국방부 주변의 미군기지 54만8000㎡를 반환받고, 부지 일부를 오는 9월부터 순차적으로 임시개방하겠다고 밝힌 터다.
윤미향 의원은 “인천 부평 캠프마켓의 경우 21만㎡를 정화하는데 2년 동안 842억원의 비용이 들었다”며 “그런데도 윤석열 정부는 올해 반환받는 미군 기지 일부를 임시조치만 하고 곧장 개방하겠다고 하니 무척 우려스럽다. 정화비용에 대한 책임을 미군에 제대로 묻고, 부지를 제대로 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 이전글[건강정책학회 뉴스레터] 건강정책학회 뉴스레터 1호 22.07.04
- 다음글[공유] 北, 이미 ‘100만명 감염’ 가능성... 최악 상황에 사망자 속출할 듯 22.05.24